Home > 대한성서공회 > 홍보
  2004년 대한성서공회 성서교육문화센터 상반기 프로그램 안내 [2004-03-15]
 

대한성서공회에서는 지난 2000년부터 3년째, 문화적인 활동을 통하여 청년들이 성서의 메시지를 접할 수 있도록 하려고, 그 만남의 장으로, 성서교육문화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 3년간 성서교육문화센터에서 무엇인가를 배우고 나간 이만 해도 무려 6000여 명이다. 성서읽기, 고대근동특강, 원문강좌, 성서와 영어, 종교음악감상 등은 다소 딱딱하고 힘겨운 강좌임에도 불구하고 각 분기별로 제일 호응이 좋았던 프로그램들이다. 지난 3년 동안 성서와 영화의 만남이라든지, 성서와 인형극, 연극, 찬양 등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분기별로 진행되어 왔다. 성서교육문화센터에서는 일반 교회들에서 진행되고 있는 프로그램과는 차별화된 재미있고 독특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도 성경을 만드는 곳에서 성서와 문화 그리고 청년을 엮어 보려고 시도하였다. 물론 참여자가 많았던 프로그램이 있는가 하면 인기없고 신청자가 몇 명 안 되는 프로그램도 있었다. 딱딱하고 힘든 강좌라 하더라도 좋은 강좌가 있는 곳에는 뜻있는 젊은이들이 모여들었다. 이것은 성서공회 문화센터에서 운영중인 ‘성서아람어’ 강좌에 무려 100여 명이 넘는 이들이 신청한 사실이 입증해준다.

  모든 프로그램은 무료로 운영된다. 신청만 하면 누구든지 들을 수 있다. 오는 2004년 3월 15일부터 상반기 프로그램이 시작되는데 그 일정은 다음과 같다. 대한성서공회 홈페이지 www.bskorea.or.kr 에서 자세한 강좌 안내를 볼 수 있다.
  참여 신청 및 문의는 02-2103-8805/8807로 하면 된다.

<프로그램 상세 안내>
1. 성서와 영어
내용: 해외선교에 관심이 있는 평신도, 청년, 목회자, 유학을 준비하는 신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영어 성경에 나오는 어휘와 문장을 익힌다.
일정: 3월 15일 - 6월 7일 (매주 월요일) 오후 1:30 - 3:00 (12회)
강사: 안한나(미UCLA 경제학과졸, 총신대 신대원졸)

 2. 신약성서읽기: 고린도전서 읽기
내용: 오늘날 교회 안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의 해결책을 고린도전서를 통하여 찾아본다.
일정: 3월 19일 - 5월 21일 (매주 금요일) 오후 7:00 - 9:00 (10회)
강사: 김판임(한남대, 한신대 강사)

3. 성서 아람어
내용: <다니엘>의 성서 아람어 부분, 쿰란 아람어, 타르굼 아람어, 팔레스티나 아람어의 기본적인 문법구조를 연구한다.
일정: 3월 15일 - 6월 7일 (매주 월요일) 오후 6:00 - 8:00 (12회)
강사: 배철현(서울대 교수)

4. 성서와 메소포타미아 신화
내용: 메소포타미아 신화들을 원전에서 직접 읽고, 그 안에서 발견되는 신관, 인간관, 세계관을 성서의 신관, 인간관, 세계관과 비교하여 연구한다.
일정: 3월 15일 - 6월 7일 (매주 월요일) 오후 8:00 - 10:00 (12회)
강사: 배철현(서울대 교수)

5. 시리아어 강좌
내용: 성경이 쓰여진 원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고대근동언어를 익혀본다.
일정: 3월 16일 - 6월 1일 (매주 화요일) 오후 6:00 - 8:00 (12회)
강사: 이수민(한님성서연구소 위원)

6. 콥트어 강좌
내용: 구약성서 창세기와 신약성서 누가복음을 시리아어와 곱트어로 읽고 해독하면서 초기기독교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정: 3월 16일 - 6월 1일 (매주 화요일) 오후 8:00 - 10:00 (12회)
강사: 이수민(한님성서연구소 위원)

  7. 정기 중교음악감상회
내용: 종교 음악의 작곡가와 작품 세계 등에 관하여 전문가의 설명을 들으며 직접 작품을 감상함으로써 종교음악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일정: 3/11(목), 4/8(목), 5/7(금), 6/4(금), 7/2(금), 8/6(금) 오후 7:00 - 9:00 (6회)
강사: 김명엽(연세대 교수)

8. 세미나 및 심포지움
최근에 해외 혹은 국내에서 성서학 논문으로 학위를 받은 신진학자들과 중진 성서학자들이 연구 논문을 발표하며, 학문적 토론의 장을 마련한다.
 1) 3월 25일 (목) 오후 7:00 - 9:30
     ·Final Form으로서의 성서 본문에 대한 문법적-문학적 접근법이 주는 

          새로운 해석의 빛: 창세기 11:1-9을 사례로 / 김상래
     ·역사적 예수와 요세푸스 / 박찬웅
 2) 4월 22일 (목) 오후 7:00 - 9:30
     ·아모스서 번역을 위한 주석적 제안(2:7c, 4:3, 8:5) / 우택주
     ·바울은 이혼을 허락하였는가? (고전7:1-16절 연구) / 김판임
 3) 5월 20일 (목) 오후 7:00 - 9:30
     ·욥기 신언설(욥 38-41장)의 특이성-비교문학적 고찰 / 안근조
     ·갈라디아서의 바울의 윤리 (5장-6장)에 나타난 우정 모티브 / 왕인성